-
[nginx] upstream sent too big header while reading response header from upstreamIT Tech/찍어먹는 IT 2021. 8. 17. 18:23
레거시 프로젝트를 다루던 중, 502 Gateway에러를 마주하였다.
/var/log/nginx 에서
tail -f error.log로 추적해보았다.
도커 컨테이너 환경에서만 다음과 같은 오류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.
왜이럴까..
레거시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료들을 분석한 뒤,
로컬 개발 환경을 구성하여 돌렸을 땐 다음과 같은 502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았다.
주말을 포함하여 몇 일을 고민해보았는데, 구글링을 통해 어느정도 힌트를 찾을 수 있었다.
구글링을 통해 다음 참고 자료를 통해서, 이분은 라라벨 환경에서 502 관련 에러가 발생이 되었다고 한다.
nginx에서 upstream sent too big header while reading response header from upstream 오류가 발생할 때
최근 XE의 스토리지 병목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스토리지에서 파일을 직접 불러와서 XE에서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대신 XE에 첨부파일이 추가/수정/삭제되면 Laravel의 Queue를 통해 S3로 파일을 동기
dev.jaedong.kim
https://gist.github.com/magnetikonline/11312172#determine-fastcgi-response-sizes
Setting Nginx FastCGI response buffer sizes.
Setting Nginx FastCGI response buffer sizes. GitHub Gist: instantly share code, notes, and snippets.
gist.github.com
이 글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HTTP와 FastCGI 프로토콜의 이해가 필요한 것 같은 느낌?!
각설하고
nginx의 conf파일에서
fastcgi_buffers 16 16k; fastcgi_buffer_size 32k;
fastcgi의 설정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 해당 버퍼를 수정해서 nginx를 재실행 및 리로드 해주면 되었다.
공부하자!!!!!
반응형'IT Tech > 찍어먹는 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] Arctic Code Vault Contibutor (0) 2021.07.28 [SpringBoot] 스프링부트 2.5.2 설치 (0) 2021.07.11 코드 리뷰 (0) 2021.03.23 [Laravel] 라라벨 8.x 설치 (0) 2020.11.10 [Docker] 도커(Docker) 란? (0) 2020.10.31